1. 선도형 R&D 전환을 위한 정부 R&D 혁신
선도형 R&D 전환 가속화를 통한 연구현장의 실질적 변화 도출 | ||
적시·신속 | ① 대형R&D 신속 추진으로 골든타임 사수 |
|
② 연구과제는 연중 수시 착수, 유연한 집행 |
| |
전문·신뢰 | ③ 평가의 전문성·투명성 동시 제고 |
|
④ 연구자 친화적 시스템 구축 |
| |
경쟁·협력 | ⑤부처·기관 간 벽을 허물어 연구주체 역량 강화 |
|
⑥ 세계 우수 연구자와 함께하는 국제협력 강화 |
| |
혁신·도전, 인재 | ⑦ 최초·최고를 지향하는 혁신·도전적 연구 |
|
⑧ 과학기술 인재를 키우는 연구환경 조성 |
|
2. 2025 정부 R&D 예산 주요 특징
가. 2025년 정부 R&D 예산 : 총 29.6조원
부처별 | 과기정통부 | 산업부 | 교육부 |
예산 | 96,671억원 | 55,676억원 | 13,796억원 |
부처별 | 복지부 | 질병청 | 식약처 |
예산 | 9,858억원 | 2,514억원 | 1,620억원 |
나. 2025년 정부 R&D 이행계획
1) 상반기 중 67% 신속 집행 목표
* 최근 5년 목표 : ('20) 62% → ('21) 62% → ('22) 62% → ('23) 62% → ('24) 62%
2) 2026년 국가연구개발 투자방향 및 기준안 마련 (~2025.03.15.)
- R&D 투자 확대 기조 유지 : 2025.01.21.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“R&D 예산 30조원 시대” 발표
- 선도형 투자 포트폴리오 전환 본격화 : 선택과 집중, 전략성, 부처협업 확대
- 주체별 간담회 및 대국민 공청회(2025.02.19.) 개최로 현장 의견수렴 강화
다. 2025년 정부 R&D 중점 투자분야
1) 3대 게임체인저 기술 : AI-반도체, 첨단바이오(2.12조원, 19.0%↑), 양자기술
- 디지털바이오 육성과 바이오 제조 기반 마련에 투자 확대
- 차세대 의료기술 확보 및 범 국가적 난제 해결 지원 강화
[계속] 국가통합바이오빅데이터구축사업(과기/복지/산업/질병청) : 1,131억원
[신규] 바이오파운드리인프라및활용기반구축(과기/산업부) : 113억원
[신규] 팬데믹대비mRNA백신개발지원(질병청) : 254억원
2) 선도형 연구생태계(기초연구, 인재양성)
가) 기초연구(2.94조원, 11.3%↑) :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환경 구축
- 후속 연구를 통해 더 큰 성과로 키우는 도약연구(750억원), 새롭고 혁신적인 연구를 위한 개척연구(150억원) 신설 등 다양한 규모로 지원
- 국가가 전략적으로 육성해야 하거나 현안대응 필요 분야를 중심으로 특성화된 기초연구 프로그램 등 전략성 강화 : 국가아젠다 기초연구(가칭, 400억원) 신설,
국가 차원 전략정책 분야 지정 및 분야 내 자유공모 연구지원, 블록펀딩 방식을 도입하여 연구·인력·시설 등 패키지형 국가대표 연구소 육성
나) 인재양성(1.1조원, 29.9%↑) : 미래세대의 도전 지원
- 젊은 연구자들이 차세대 연구리더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전폭 지원 : 한국형 STIPEND(600억원), 석박사 장려금(552억원, 2배↑),
신진연구자가 독립 연구역량을 확보하고 혁신적 연구에 도전할 수 있도록 연구기회 확대, 연구실 조기구축 지원 지속
- 국가전략기술 최고인재 확보를 위해 합성생물학, 생성형AI 등 이머징 분야의 인력양성 투자 확대 : 합성생물학 전문인력양성(26억원), 생성AI선도인재양성(52억원)
- 젊고 유능한 연구자 대상 해외 선도연구 참여와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형성 지원 : 인재활용확산지원 글로벌인재교류활용(484억원), 디지털 분야 글로벌인재양성(120억원)
※ 부처별(과기정통부, 복지부, 교육부, 산업부) R&D 예산발표에 대한 주요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로딩중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