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정부 R&D 정책
□ “혁신 성과, 연구실 밖으로 나와야”…범부처 기술사업화 전략 나온다
◉ 과기정통부·교육부, 기술사업화 비전 선포식 개최 및 기술사업화 규제 풀고, 금융지원 강화
- 정부는 공공 R&D를 통해 확보한 기술이 산업으로 연결되는 구조적 기반을 마련하고, 범부처 협업을 통한 기술사업화 전주기 지원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임.
- 기술사업화 관련 인사와 평가 등 인센티브도 강화하며, 대학의 기술사업화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 및 기술지주회사에 대한 규제 완화가 핵심임.
- 공공기술기반 창업 지원도 확대하며 실험실 창업지원 체계를 확립하고, 창업유망기술을 보유한 혁신창업실험실을 지원해 딥테크 연구소기업을
2030년까지 500개 육성한다는 목표임.
□ 정부 기초연구 지원 개편…"행정절차 간소화, 연구비 제한 완화"
◉ 과기정통부는 기초연구 질적 고도화를 위한 정책 방향을 수립하려는 목적으로 30일 '제4차 기초연구 전략대화 개최
- 4차례 전략 대화 중 △불필요한 행정절차 간소화 △연구비 사용기준 개선 △간접비 용도 제한 완화 등 연구 지원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
- 기초연구가 단순한 지식 창출을 넘어 경제·사회적 기반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만큼 연구자의 '책임'이 중요하며,
특히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하는 만큼 기초연구 경쟁력이 국가 경쟁력의 근간이 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함.
- 또한 연구행정 기관 등이 부실의심 학술지를 대상으로 자가점검 지원 시스템 도입을 유도해야 한다고 제시하며,
연구 부정·부적절 행위의 경우 사례 위주 교육으로 경각심을 일깨워야 한다고 덧붙임.
□ 바이오헬스혁신위, '규제혁신 과제' 174건 공개…"끝까지 개선"
◉ 의료기기 79건, 제약 72건, 기타·화장품 23건으로 세제 지원, 제도 개선, 인건비 지원 확대 등의 과제가 포함됨.
- 혁신위는 간담회 및 규제개혁마당을 통해 접수한 규제 211건 중 긍정적 검토 과제(수용, 일부수용, 기대선, 지속추진) 174건을 관리과제로 지정함.
- 세부 산업별로는 의료기기 79건(45.4%), 제약 72건(41.4%). 기타·화장품 23건(13.2%)이며, '연구중심병원 의료기술협력단 설치 관련 세제지원',
'미성년자 대상 소비자대상직접시행 유전자 검사 가이드라인 개선', '중소기업 연구인력 인건비 지원 대상 확대' 등 과제가 수용됨.
- 규제개선 과제 세부내용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홈페이지 내 규제개혁마당에 공개
2. 대학평가/정보공시
□ [2025THE아시아] 서울대 ‘12년 연속’ 국내1위.. KAIST 성대 연대 포스텍 톱5
◉ 600위까지의 랭킹 중 국내 대학 43개교가 순위권, 지난해보다 3개교 늘음.
- 국내 대학 순위는 22개교 하락, 6개교 상승으로 전반적 하락세를 보임. 주요 요인은 THE 집계 범위가 31개국 739개교에서 35개국 853개교로 늘어
경쟁이 치열해진 점과 중국 대학의 강세로 인한 상대적으로 국내 대학의 순위가 낮아진 점 등임.
- 국내 순위는 서울대(15위), KAIST(17위), 성균관대/연세대(19위), 포스텍(24위) 순이며 가톨릭대는 국내 19위(전체 119위)임.
- 전체 1위는 칭화대(중국), 2위는 베이징대(중국), 3위는 싱가포르국립대(싱가포르)임. 톱 20위권에는 중국 7개교, 홍콩 5개교, 한국 4개교, 일본/싱가포르 2개교가 포함됨.
- THE아시아대학순위는 2013년부터 13년째 발표되었으며, 평가 점수는 △연구품질(30%) △연구환경(28%) △교육환경(24.5%) △산업(10%) △국제화(7.5%) 등
5개 지표를 합산함.
3. 기타 공유사항
□ "내가 연구한 건데 왜?"…안일한 인식이 기술유출 키운다
◉ 대학과 연구소에서 반복해서 일어나는 기술 유출 시도를 막기 위해 인식 제고와 법적 보완이 시급한 상황
- 정부는 연구과제를 '보안과제'와 '일반과제'로 분류해 R&D(연구개발) 예산을 지원하며, '보안과제'로 규정된 '국가안보 등을 위해 보안이 필요한 과제'만 집중적으로 관리하고
그 외 '일반과제'는 국가의 중요 기술로 발돋움할 잠재력이 있더라도 특별한 보호 조치가 없음.
- 그러나 전체 R&D 예산 중 90% 이상이 일반과제이며, 매년 30조원에 가까운 국가 예산이 투입된 연구들엔 명확한 보안규정이 없어 주먹구구식으로 관리되고 있음.
- 기술 유출을 막을 수 있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 개정안이 지난 2월 발의됐으며, △보안과제와 일반과제의 중간 보안등급(민감과제) 신설
△연구현장에 연구보안 전담 집행조직 마련 △연구보안 부정행위의 범위를 보안과제·민감과제의 성과 누설 및 유출로 확대한다는 내용이 담김.
- 다만 개정안은 소관 상임위원회인 과학기술정보통신위원회에 계류 중으로, 언제 본격적인 논의가 시작될지 가늠하기 어려움.
※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.
로딩중입니다.